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CRE 전국 확산 비상" ... "요양병원 감염관리비 검사비용 정도는 보존해줘야"

▲ 26일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가 CRE 확산을 막기 위해 정부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정부가 중소병원과 요양병원 등 감염관리 사각지대 관리를 소홀하게 하는 사이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RE)' 문제가 심각해지는 양상이다.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는 26일 세종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몇 년 전까지만 해도 CRE는 대형병원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보고됐던 것이 2016년 하반기부터 종합병원 중환자실을 중심으로 CRE 발생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또 40개 이상 병원이 CRE 유행을 겪었거나 진행 중이고, 특히 CRE 중 카바페넴 분해 효소를 분비하는 장내세균(CPE)의 등장으로 긴장해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 

특히 최근 요양병원에서 대학병원으로 전원되는 환자 중 CRE에 감염된 환자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학회 엄중식 정책이사(가천대 감염내과)는 "CRE가 종합병원과 요양병원 사이의 환자 전원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며 "요양병원의 잘못이라 보기보다는 정부 정책의 문제라 봐야 한다"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했다. 

오는 2018년 10월부터 150병상 이상 병원에만 감염관리점담사를 둬야 한다는 법이 시행될 예정일 정도로 현재 정부의 감염관리에 대한 기준은 느슨하다고 할 수 있다. 결국 현재 요양병원의 감염관리는 병원 재량에 맡겨둔 상태다.

학회 유진홍 회장(가톨릭의대 감염내과)는 "요양병원에서 CRE가 생겼다는 오해를 할 수 있지만 내성은 하늘에서 뚝 떨어지지 않는다. 요양병원에서 카바페넴을 쓰는 경우는 거의 없다"며 "환자가 대학병원에서 카바페넴을 쓰고 요양병원으로 갔다 다시 대학병원에 오는 과정에서 발생할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CRE가 확산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중소병원과 요양병원을 감염관리의 제도권 안으로 들여와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학회 유소연 부회장은 "현재 다재내성균이 어느 정도까지 퍼져 있는지 실태조사조차 되지 않은 상황이다. 하루빨리 정부가 중소병원과 요양병원을 사각지대에 두지 말고 하루빨리 감염관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학회 엄중식 정책이사(가천의대 감염내과)도 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엄 교수는 요양병원이 정액제에 묶여 있어 감염관리를 하려해도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정부의 태도 변화를 요구했다. 

▲ 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엄중식 정책이사

엄 정책이사는 "요양병원에서 환자가 열이 나면 항생제를 투여했다 그럼에도 열이 떨어지지 않으면 큰 병원으로 보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정액제 상황이라 감시배양 등 감염을 막기 위한 활동을 해도 비용을 보존받지 못한다. 정부가 요양병원 등에 한달에 한번 감염감시 등의 활동을 했을 때 실비 정도라도 보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감염관리에는 전문인력이 필요하다. 인력이 부족한 지금으로써는 전문가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거나, 외국처럼 몇 개의 병원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바꾸는 등의 생각을 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한편 정부는 6월부터 CRE와 반포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RSA)를 3군 법정감염병으로 지정하고, 전수보고와 조사를 시작한다. 또 질병관리본부 내 의료관련감염관리를 담당하는 의료감염관리과를 신설했고 초대 과장으로 이형민 연구관을 내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유 회장은 "전체 인력이 9명 밖에 되지 않는 상황에서 전국적 CRE 유행에 대해 대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어려운 구조다. 정부가 인력, 예산, 정책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