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10명 중 3.7명 최소 난청

속삭이는 수준의 소리를 듣는 게 힘들다면 '최소 난청'을 의심하고 의료진의 전문 상담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소난청은 청력 역치가 15DB 이상으로 일반적인 난청 수준(25dB이상)보다는 양호하지만, 갈수록 난청이 심화되고, 인지기능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 설명이다. 

삼성서울병원 이빈이후과 문일준 교수팀은 12세 이상 국민 16630명을 대상으로 최소난청 유병율을 조사했다. 그 결과 10명 중 3.7명꼴로 최소난청에 해당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시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토대로 한 분석에서 정상적인 고막을 가진 1만 6630명 중 최소 난청 유병률이 37.4%에 달했다. 이러한 최소난청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증가했고, 남성에게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최소난청을 가진 사람 중 13%는 청력 저하로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호소했고, 22.9%는 이명 증상을 동반하는 등 정상 청력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삶의 질이 낮았다. 

문제는 최소난청 환자들이 증상이 덜한탓에 병을 간과하기 싶다는 점이다. 

중등도난청 환자의 경우 보통 크기 말소리에도 불편을 느끼는 탓에 의료진을 찾거나 보청기 등 청각재활에 관심을 갖는 반면, 최소난청 환자들은 개념조차 생소한데다 사회적 관심 부족으로 치료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실제로 이번 연구에서 최소 난청 환자 중 0.47%만이 청력보조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최근 최소난청과 인지기능 저하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는 등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의료계를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미국 존슨홉킨스의대와 국립노화연구소 공동연구팀에서 지난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난청을 겪는 노인은 정상노인보다 치매 발생 확률이 2~6배가량 높았다. 또 난청을 가진 소아의 37%가 낮은 학업 성취도, 자존감 저하 등을 보인다고 발표한 바 있다. 

문일준 교수는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및 빈번한 개인 음향기기 사용 등의 이유로 난청은 증가하는 추세"라며 "최소난청은 시간이 흐를수록 난청이 진행할 수 있고 삶의 질은 더욱 떨어지기 때문에 증상이 있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플로스원(Plos ONE) 최근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