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계 10년 평균 고용증가율 3.9%...청년·정규직 고용 비율 크게 앞서

 

제약산업이 고용 안정성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제약업계의 고용증가율이 제조업보다 높았고, 특히 정규직 비중과 청년 고용증가율이 두드러졌다고 27일 밝혔다. 

협회에 따르면 의약품제조업의 고용증가율은 최근 10년(2005~2015년) 동안 연평균 3.9%씩 증가했다. 이는 제조업 1.6%, 전 산업군 2.6%에 비하면 괄목할 만한 수치다. 

아울러 2014년도 제조업 전체 생산액은 2005년 대비 90.5% 증가했지만, 고용은 11.6% 늘어나는데 그쳤다. 

 

반면 같은 기간 의약품제조업의 생산액 증가율은 54.9% 수준이었지만, 고용증가율은 37.9%로 제조업 전체 고용증가율보다 3배 높았다. 

이를 생산금액당 고용인원수로 환산하면, 제조업이 4.5억원당 1명을 고용할 때 의약품 제조업은 1.8억원당 1명을 고용한 셈이다. 

특히 제약업계는 전 산업계에서 청년고용증가 비중이 가장 높은 산업으로 나타났다. 구직난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청년 고용시장에 온기를 불어넣고 있는 것. 

실제 전 산업 중에서 제약업계의 청년고용증가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정보원이 지난 2009년부터 2014년까지 5년 동안 청년 고용이 증가된 기업을 분석한 결과, 의약품제조업은 45.5%로 전 산업에서 가장 비중이 컸다. 

해당 기간 동안 제약기업 10곳 중 4.5곳은 청년고용을 늘렸다는 의미로, 이는 제조업(27.6%)과 전 산업(23.4%)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아울러 정규직 비중도 높아 고용시장의 고용 안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제약업계 종사자 10명 중 9명은 정규직으로 나타났다. 의약품제조업의 정규직 비중은 2015년 91.4%로, 전 산업과 제조업 각각 67.5%와 86.3%에 비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와 함께 제약산업에 종사하는 연구직은 2016년 1만 1862명으로, 2011년 8765명 대비 3000여명 늘었고, 지난해 한 해 동안 800여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제약업계로 석·박사급 전문 인력 유입 추세도 두드러졌는데, 한국과학기술평가원이 2014년 발표한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의약품업종에 채용된 연구인력 중 석·박사 비중은 71.7%로 산업 전체(32.5%)는 물론 제약산업 업종이 포함된 제조업 평균인 33.7%보다 두 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