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측 "전담인력 등 규제는 까다롭지만 혜택은 없고" ... 탁상공론 비판 쏟아져

▲ 20일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열린 외국인환자 유치의료기관 평가지정 교육장에서 참석자들은 현장을 모르는 정책이라고 불만이 쏟아냈다.

정부가 추진하는 '외국인환자 유치의료기관 평가지정 제도'에 대한 병원 현장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병원을 고려하지 않은 탁상행정이라는 지적이다. 

보건복지부는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에서 우리나라 의료의 국제적 위상과 신뢰를 강화하고, 외국인환자들이 국내 의료기관을 이용할 때 선택을 돕기 위해 외국인환자 유치의료기관을 선정하고 있다.  

평가는 외국인환자 유치 실적 및 운영체계나 전문인력 및 전문의 보유, 의료분쟁 예방 등을 파악하는 외국인환자 특성화 체계와 환자안전 보장활동, 환자진료, 감염관리 등을 평가하는 환자안전체계로 구성돼 있다. 

병원 관계자들이 어려움을 호소하는 부분은 전문인력 보유 항목이다.  

20일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이 주최한 '제2차 외국인환자 유치의료기관 평가·지정 대상 의료기관 기본교육' 강의가 열렸다. 교육에 참여한 병원 관계자들은 "정부가 이 제도를 운영하는 목적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 불합리한 부분이 너무 많다"고 토로했다. 

한 참석자는 "우리 병원은 러시아, 중국, 베트남에서만 환자가 방문한다. 그런데 평가 규정에 영어가 필수항목이라 영어 홈페이지까지 만들어야 한다"며 "병원 상황에 맞게 해야지, 꼭 영어를 필수로 할 필요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항의했다. 

이에 대해 의료기관평가인증원 정책개발팀 관계자는 "일단 죄송하다"며 "영어는 세계 공통어라 영어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외국인들이 영어 홈페이지를 보고 환자가 찾아올 수 있다"고 답했다. 

전담인력 조건에 대한 볼멘소리도 컸다. 전담인력을 갖추는 것은 물론 이들의 실무능력도 평가하는 등 조건이 너무 까다롭다는 얘기다. 

전문인력은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또는 의료통역능력검정시험의 국가 자격증을 보유한 코디네이터와 또 사전사후 관리 인력, 해외홍보나 외국인환자 만족도 조사 등을 하는 기타 행정 업무를 하는 직원이다. 

전문인력이 있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다. 실제 현장에서의 이들의 직무를 평가받아야 외국인환자 유치의료기관으로 지정받을 수 있다. 

한 참석자는 "병원 업무를 잘 아는 의사나 간호사임에도 코디네이터 자격증이 없어 전문인력이 되지 못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중국어를 잘 하는 의사도 전문인력이 되려면 자격증을 따야 한다면 누가 하겠냐"라고 반문했다. 

 

또 다른 참석자는 "러시아인으로 한국말은 잘하고 일도 잘하고 있다. 그럼에도 2년마다 공인어학점수를 제출해야 한다는 건 어이없는 일이다. 회사에 입사할 때도 한번 제출하지 2년마다 제출하지 않는다"며 "국내 병원에서도 환자 사후관리를 하지 않는데, 외국인 사후 관리를 요구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또 "정부가 이 제도를 운영하는 진짜 목적이 무엇인지 모르겠다. 자격증을 먼저 파악하고 이후 현장 실사를 진행한 후 서비스를 잘 하고 있다면 인정해야 함에도 현장에 있는 사람들을 어렵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날 참석한 복지부 해외의료총괄과 송경아 사무관은 외국인환자 유치의료기관 평가지정제도는 병원의 실력을 평가하는 제도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송 사무관은 "이 제도는 치료를 잘하는지 보는 것이 아니다. 서비스 체계가 잘 갖춰져 있는것을 보는 것이다. 환자안전체계에서도 최소한의 서비스가 제공되는지 보는 것"이라며 "국가 이미지에 영향을 줄 수 있어 환자의 사후관리는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