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원 이사장 "건강한 생활습관 꾸준한 약물 치료가 중요"

해마다 골다공증 골절로 진단받는 환자가 꾸준히 증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골대사학회(이사장 변동원)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 (2008~2013년)를 이용하여 한국인의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의 발생 및 관리양상에 대한 분석을 시행한 결과, 50세 이상에서 골다공증 골절로 진단 받은 환자는 인구 1만명당 2008년 112.9명에서 2013년 140.1명으로 매년 4%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골절 부위별로 보면 50세 이상에서 골절 발생률(2013년, 인구 1만 명당)은 척추(67.6명), 손목(48.2명), 고관절(18.3명), 위 팔뼈(7.8명) 순으로 높았고 연령별로보면 고연령으로 갈수록 척추( 70세 이후) 및 고관절 골절(80세 이후)의 발생률은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위중도가 높은 고관절 골절 발생은 2008년에 2013년까지 남녀 모두 매년 7% 씩 증가하는 추세로 여성이 남성의 2.5배 정도로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 척추 골절의 발생은 2008년 69,972건에서 2013년 109,693건으로 매년 9% 씩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고, 여성에서 남성보다 3.5배 많이 발생했다.

이러한 증가추세로 볼 때 10년 후인 2025년의 골다공증 골절 발생 건수를 추정한 결과 고관절 골절은 1.4 (7)배, 척추골절은 1.4배 증가할 것으로 학회는 추정했다.

현재 골다공증 골절 관련 총의료비는 2008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부위별 로 보면 고관절 골절이 919만원으로 척추골절의 499.5만원의 2배에 달하는 의료비를 지출하고 있다.

 

고관절 및 척추 골절로 인한 사망률 분석에서는 고관절 골절 경험 후 1년내 사망률은 남성이 21.0%로 여성 14.8%보다 1.4배 높았고, 척추골절 후 1년 내 사망률도 남성이 13.6%, 여성이 6.2%로 남성이 2.2배 높았다.

고관절 골절 후 사망률은 기간별로 분석하면 골절 후 첫 3개월이 가장 높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띄며 1년 이후에는 안정되는 양상이며, 50세 이상 인구의 기대 사망률을 보정한 사망비 (standardized mortality ratio, SMR)을 구해보면 고관절 골절 1년 후 사망률이 일반인구보다 남성에서 11.9배 여 성에서 11.2배로 증가하여 다른 부위 골절보다 월등하게 높았다.

대한골대사학회 이사장 변동원 교수 (순천향의대 내분비내과)는 “골다공증은 골절이 발생할 때까지 별다른 증상 없이 서서히 진행되는 특성이 있어 질환에 대한 인지도가 높지 않은게 전 세계적인 문제"라면서 "무엇보다도 골절예방에 가장 큰 효과가 있는 것은 약물 치료라 할 수 있다. 특히 이미 골절을 경험한 사람들은 다시 부러질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에 반드시 약물 치료를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