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심폐소생협회 노태호 홍보위원장 "의료종사자 도착해 심폐소생술 할 때는 이미 늦어"

"심폐소생술은 시간과의 전쟁입니다. 의사 또는 간호사, 119 구급대원이 도착해 심폐소생술을 할 때는 이미 늦습니다" 

▲ 노태호 홍보위원장

대한심폐소생협회(이사장 황성오)가 의료종사자뿐 아니라 일반인들도 심폐소생술을 배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6일 서울성모병원에서 열린 대한심폐소생협회 기자간담회에서 노태호 홍보위원장(가톨릭의대 순환기내과)은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을 때 신고 후 구급차가 5분 이내에 도착할 가능성은 적다"며 "하지만 목격자가 심폐소생술을 한다면 심정지 환자의 뇌에 산소가 공급되면서 응급실 도착까지 상당한 시간을 벌 수 있다"고 제언했다.

질병관리본부가 2017년 발표한 급성 심정지조사 통계자료에 따르면, 119 구급대를 통해 의료기관 응급실로 이송된 병원 밖 급성 심정지 환자는 연간 약 3만 건이었다. 국내 연간 교통사고 사망자가 5000명 수준임을 볼 때 5∼6배 더 많은 수치다. 

급성 심정지 후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2006년 1.3%에서 지난해 16.8%로 10여 년 동안 약 13배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심폐소생술 홍보 및 교육 확대 등으로 과거보다 늘었음에도, 여전히 선진국 대비 낮은 실정이라는 게 노 홍보위원장의 설명이다. 2016년 미국심장협회가 발표한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46%로, 우리나라보다 3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정지 후 생존율도 선진국보다 낮은 상황이었다. 2016년 국내 심정지 후 생존율은 7.6%로 2006년 2.3%보다 증가했지만, 지난해 미국 심정지 후 생존율이 12%인 점을 고려하면 선진국과 비교해 생존율은 여전히 낮았다. 

게다가 심정지 후 일상생활이 가능해져 사회에 복귀한 환자 비율도 다른 나라에 비해 턱없이 낮은 수준이었다.

덴마크에서 발표한 2001~2011년 직장인 대상 전수조사 결과에 의하면, 직장인 심정지 환자 4354명 중 생존자는 796명으로 18%를 차지했다. 생존자 중 4개월 이내에 직장으로 복귀한 이들은 76%로, 전체 심정지 환자의 14%인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심정지 후 사회에 복귀할 수 있는 환자 비율이 2% 정도로, 덴마크와 7배가량 차이가 났다.

그는 "우리나라는 심정지 환자가 발생해도 심폐소생술을 진행해 도와주는 사람이 적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나타난다"며 "초동대응이 늦어지면서 환자 상태가 심각해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 성인 심정지 환자에서의 생존사슬. <사진출처: 대한심폐소생학회>

이어 그는 골든타임 안에 심폐소생술을 하면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심정지 환자가 완전히 회복할 수 있는 골든타임은 4분. 4분이 지나면 뇌에 산소 공급이 중단되면서 뇌 손상이 일어나 10분이 지나면 사망에 이르게 된다. 

하지만 목격자가 심폐소생술을 할 경우 심정지 환자의 생존 가능성은 2~3배 증가해, 심정지 후 응급실에 도착하기까지 사망 위험을 낮출 수 있었다.

그는 "심정지 환자에게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이들은 사망에 이르게 되거나 일상생활이 어려워지면서 가족 또는 사회적 부담이 늘어나게 된다"면서 "일반인들은 다른 사람뿐만 아니라 본인과 가족을 위해서 심폐소생술을 반드시 배워야 한다"고 피력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