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근 신임 복지부 한의약정책관 "의-한 갈등 떠나 내실화 집중...제약산업 못잖은 성과 기대"

▲이태근 신임 복지부 한의약정책관4개월간 공석이었던 보건복지부 한의약정책관에 이태근 부이사관이 승진 임명됐다.이 한의약정책관은 한의약산업은 잠재력이 큰 분야라고 강조하고 "한의약의 육성을 위해 과거 제약산업과 마찬가지로, 국가가 관련 인프라를 구축해 산업 발전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그 첫 걸음은 한의약의 과학화와 표준화다. 이것이 전제되어야만 한의약에 대한 국민 신뢰 구축, 나아가 한의약 급여 확대와 산업 발전이 가능하다는 지적이다.이태근 신임 한의약정책관은 30년 넘게 공직에 몸을 담아온 보건의약정책 전문가다.식품의약품안전처의 전신인 보건안전연구원을 시작으로 복지부 보험정책과와 보험급여과를 거쳐 보험약제과장, 보험평가과장, 정신건강정책과장, 생명윤리과장 등을 지냈다.복지부 전문기자협의회가 10일 이 정책관을 만나 신임 한의약정책관으로서의 각오와 포부를 들었다. 이 정책관은 지난 8일자로 임명, 업무에 돌입했다.

Q. 한의약정책관이라는 중책을 맡게 됐다.

-공직생활을 시작한 지 30년이 넘었다. 그 가운데 25년 이상을 보건의료분야에서 일했는데, 이번 한의약정책관 임명으로 다시 돌아오게 돼 설레는 마음이다. 그간 보건의료분야에서 일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한의약 발전을 위해 공헌할 부분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찾아 진행해 나가고자 한다.

Q. 구상하고 있는 한의약정책의 방향성은.

-3차 한의약육성발전종합계획을 보면 주된 테마가 한의학의 과학화와 표준화, 즉 근거중심의학이다. 과학화와 표준화가 이뤄져야 이를 바탕으로 보장성 강화와 한의약의 발전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그 맥락에 적극 동의한다. 한의약분야 진료행위와 약재, 한의 의료기기 등에 대한 근거를 키우는 작업을 통해 한의약의 발전을 이뤄나가야 한다는 생각이다. 의료서비스나 제약 분야에서도 2000년대 초반에서야 근거를 구하는 작업을 본격화했다. 그런 점에서 보면 한의약도 절대 늦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가장 필요한 것은 인프라의 구축이다. 과거 제약산업 품질인증과 관리를 위한 GLP, GMP 등도 국가가 먼저 인프라를 구축해 기술을 선도함으로써 제약사들이 자체적으로 이를 갖추는 계기를 마련했다. 한의약도 국가가 선도해 인프라를 갖춰나가는 등, 국가 주도 하에 육성할 필요가 있다. 한의계 내에서도 과학화와 표준화를 통한 산업 육성, 보장성 강화가 이뤄져야 하다는 공통된 인식을 가지고 의견을 모아가는 지혜가 필요하다.

Q. 한의약도 정부 주도로 육성해 나간다면 제약과 같은 성과를 낼 수 있을까. 

-더 성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조금 더 일찍 시작했으면 어떨까 하는 아쉬움이 든다. 다만 국민들이 믿고 찾으려면 안전성과 유효성이 있어야 한다. 건강보험의 경우 접근성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문제로 급여화를 위해서는 안전성과 유효성은 기본이고 임상평가와 경제성평가까지 생각해야 한다. 국민에게 안전하고 효과가 있는가의 문제는 의-한 간 차이가 없다고 본다.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근거는 두 분야 모두 제공해야 한다.  

Q. 한의약 육성은 직역 간 의견이 엇갈리는 양상이다. 한의사 현대의료기기 사용 등 쟁점도 맞물려 있다.

-한의계와 의료계 간 갈등에 집중하기 보다는 한의약 분야의 내실을 키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정부는 국민을 중심으로 생각하고 국민을 위한 정책을 펼쳐야 한다. 한의계를 위한 정책, 의료계를 위한 정책이 아니라 국민을 위한, 국민건강을 보장할 수 있는 관점에서 정책이 고안되고 집행되어야 한다. 한의사 의료기기 문제도 같은 맥락이다.

Q. 의료계와 한의계에 전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한의학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국민이 아플 때 찾을 수 있는 위상을 가져와야 한다고 생각한다. 옛날 방식도 좋지만 그에 머물지 말고 신뢰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찾고 꾸준하고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다. 의료계든 한의계든 자주 만나 많은 대화 하겠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