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형 당뇨병으로 이어져...만성질환 관리 차원에서 실시할 것 당부

산모 10명 중 1명이 임신성 당뇨병을 앓고 있으나, 정확한 검사, 체계적인 교육 상담이나 치료 등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24일 열린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전문가 초청세미나에서 각계 전문가들이 임신성 당뇨병에 대한 국가적 지원과 연구, 상담 수가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임신성 당뇨병 급증, "고령 산모 원인"

주제발표를 맡은 단국의대 산부인과 김문영 교수(제일병원)는 현재 35세 이상의 고령 산모가 전체 20% 이상을 차지하면서, 임신성 당뇨병 환자가 급증한 것이라고 밝혔다.

임신성 당뇨병 산모는 태아가 거대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난산의 위험이 있고, 출산 후 제2형 당뇨병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서울의대 내과 장학철 교수(분당서울대병원)는 "이러한 산모에서 태어난 태아는 추후 내당능장애를 앓을 가능성이 크고, 체지방증가, 복부비만 등으로 이어지면서 당뇨병으로 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 태아일 때는 저산소증, 고혈압, 기형아 등의 위험이 뒤따르고, 신생아일때는 고빌리루빈혈증, 저칼슘혈증, 소아기에는 비만, 성인기에는 당뇨병 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처럼 두 명의 환자를 만드는 질병임에도 정부차원의 관심이 미미하고, 상담수가 등이 마련돼있지 않아 이를 앓고 있는 산모들이 제대로된 관리를 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질병관리본부 정율원 전문연구원은 "임신성당뇨병에 대한 과학적이고 신뢰성 있는 정보가 부족한 상태"라며 "정보 제공 및 교육을 위한 인프라는 물론 인력도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임신성 당뇨병 산모들이 임신 기간 중에 관리를 받더라도 이후의 당뇨 위험요인 관리, 정기적인 당뇨검사 등 전향적 관리는 미흡하다"며 이에 대한 정부차원의 관심을 촉구했다.

코호트 관리·통합 진료 프로그램 마련·상담수가 신설 등 할 일 '태산'

임상에서는 '상담수가 신설'과 '코호트연구 시행'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제일병원 김문영 교수는 "우리나라 임신성 당뇨병 진단하는 코드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담수가를 신설해야 한다"며 "이에 따라 공단에서 임신성 당뇨병 코호트를 구성하는 것이 필수"라고 말했다.
 

 

현재 만성질환, 성인당뇨병 등을 관리하면 이에 대해 수가가 부여되지만 임신성당뇨병은 상담수가가 없기 때문에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부연했다.

또한 "산모들이 가장 어려운 점에 대해 정보 부족을 꼽았다"며 "인터넷으로 잘못된 정보를 많이 얻는데, 국가와 학회에서 선별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차원에서 다학제적 접근, 전향적 통합관리, 전문인력 양성 등 '지원 필요'

그나마 고무적인 것은 정부의 중기 보장성 강화 계획에 따르면, 고위험 외에 모든 산모에게 확대하고, 자가관리를 위한 소모품에 대한 보험적용 확대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질본 정율원 연구원은 "보험 적용을 한다고 해도 이를 사용할 수 있는 자가관리 시스템, 교육프로그램도 같이 있어야 한다"며 "어떻게 하면 조기에 정확하게 진단해서 이를 출산 후까지도 관리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따라서 "1차적으로는 국민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가 필요하고, 동시에 기존의 국가건강검진과의 연계해 이를 조기에 발견하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2~3차 예방을 위해서는 교육 및 정보를 정부에서 제공하고, 검사 비용을 지원하는 등 전향적인 통합관리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서는 전문진료과목과 직역을 뛰어넘는 다학제적 접근을 해야 한다"며 "예방관리 프로그램, 전문인력 양성, 서비스 전달체계 효율화 등을 선결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했다.

건보공단 성상철 이사장도 "저출산이 심각한 상황인데 고위험군 산모가 늘면서 임신성 당뇨병 환자도 급증하고 있다"면서 "진료비 지출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모성보호 차원에서라도 이 같은 질병을 줄이는 데 앞장서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공단에서는 임신성당뇨병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마련, 검진과의 연계 등 사전에 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볼 것"이라며 "공단에서는 선제적인 예방사업을 수행하는 데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