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국회 정책토론회 개최...유병률을 평가하는데 가장 정확한 자료될 수 있다는 의견 제시

▲ 4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진행된 '산후우울증 지원방안 정책공청회'를 통해 산후우울증 예방과 조기개입을 위한 중·장기 대책들이 발표됐다.

대한민국 산모의 10%가 겪는 산후우울증 극복을 위해 전국적인 역학조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4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진행된 '산후우울증 지원방안 정책공청회'에서 산후우울증 예방과 조기개입을 위한 중·장기 대책들이 발표됐다. 특히 국내 산후우울증의 유병률을 조사하기 위한 전국 단위의 역학조사 방안에 대한 심도높은 논의가 이뤄졌다. 

이날 성균관의대 전홍진 교수(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는 "기존에 수행된 정신건강질환실태 역학조사에는 산후우울증을 중점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도구가 포함돼 있지 않았다"면서 "산후우울증이 역학조사에 포함된다면 전국적인 유병률을 평가하는데 가장 정확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후우울증 역학조사는 2016년 7월 시행 예정된 정신건강실태조사에 산후우울증 척도를 포함시켜, 가장 비용대비 효과적인 방식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전교수는 부연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실태조사 도구개발 및 확정, 조사원 교육, 산후우울증 대상자 등록, 유병률 추정의 과정 등으로 구분해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역학조사를 통해 산후우울증의 전국적 유병률과 공존질환, 위험인자 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전 교수는 "정신건강실태조사 조사비에 1억여 원의 연구비를 추가하는 형태로 시행될 수 있는 방안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된다"면서 "구체적인 방식은 정신건강정책과와 출산건정책과 긴밀히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아웃리치 통해 산모의 접근성 높이자

아웃리치(outreach) 강화를 통해 산후우울증을 조기발견하고 개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국립중앙의료원 이소희 과장(정신건강의학과)은 "무엇보다 법적제도적 보완과 함께 산후우울증 산모와 아이를 위한 전문적인 정보를 개발하고 아웃리치를 통해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핵심적인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실례로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서울아기 건강첫걸음 사업'과 같은 산모 및 영유아 대상 아웃리치 프로그램이 가장 좋은 예라는게 이 과장의 설명이다.

이 같은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통해 충분히 교육받은 의료인이 양육교육과 함께 방문지원을 강화하면 산후우울증 조기발견과 적절한 개입에 상당히 효과적인 사업이 될 것으로 추정했다.

이밖에도 △임산부나 산모를 대상으로 산후우울증에 대한 선별검사 및 교육 시행, △임신 후 산부인과 첫 방문 시 출산 후 첫 방문 및 신생아 예방접종을 위한 소아과 방문 시기에 각 1회씩 산후우울증에 대한 교육자료 및 선별 검사지 시행 △산후우울증 취약군 정밀상담평가 연계 등의 대책들도 나왔다.

한편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소속 대한정신건강재단이 심평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산후우울증 환자수 및 출산인구 대비 비율은 △2010년 3987명(0.87%) △2011년 4366년(0.95%) △2012년 4638명(0.98%) △2013년 4069명(0.96%)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산모 중 1% 미만이 산후우울증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미국은 연간 50만 명이 산후우울증으로 병원을 찾는것과 비교했을 때 매우 낮은 수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