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공단, 빅데이터 활용 임신·분만 경향 분석결과 발표...“빅데이터로 저출산 극복할 것”

최근 10년 사이 분만건수는 줄고 분만 평균연령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1일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에서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10년간의 임신 및 분만 경향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 21~24세 연도별 분만건수 및 표준화분만율

분석 결과에 따르면 분만 평균연령은 2006년 30.3에서 2015년 32.2세로 1.9세 증가했다. 

이 가운데 35세 이상 연령의 분만 비중은 2006년 13.7%에서 2015년 27.6%로 10%p 이상 늘었고, 40세 이상 연령의 분만비중 역시 같은 기간 동안 1.2%에서 3.0%로 증가했다. 

특히 분만 건수는 2006년 43만 1559명에서 2015년 42만 8319명으로 0.8% 감소했다. 

다만, 실질적인 가임여성인 24~38세 사이 건강 보장 여성 수가 최근 10년 동안 625만 4000명에서 531만 9000명으로 15.0% 감소함에 따라 분만율은 2006년 4.05%에서 2015년 4.54%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산모의 소득수준은 2006년 3분위 26.2%를 중심으로 중간층에 골고루 분포했지만, 2015년에는 4분위 33.8% 등 고소득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 임신 직장가입자 중 분만시점, 분만 후 1년간 자격 유지 현황

이와 함께 임신한 직장 여성이 분만까지 직장을 유지하는 비율도 2006년 67.3%에서 2014년 73.9%로 증가했고, 출산 1년 후까지 직장을 유지하는 비율은 같은 기간 동안 62.9%에서 69.7%로 늘어났다. 

건보공단 성상철 이사장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는 자격, 진료를 망라하고 있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부의 출산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