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성인에서 백인 이완기혈압, 흑인 수축기혈압이 강력한 예측인자

 

20~40대 젊은 성인의 심혈관질환을 예측하는 혈압요소가 인종 간 다르다는 보고가 나왔다.

대규모 역학연구인 CARDIA(Coronary Artery Risk Development in Young Adults) 연구를 분석한 결과 백인은 이완기혈압, 흑인은 수축기혈압이 심혈관질환을 예측하는 강력한 지표였다. 즉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인종에 따라 다른 혈압을 조절해야 한다는 뜻이다.

연구를 주도한 미국 노스웨스턴의대 Donald M. Lloyd-Jones 교수는 논문을 통해 "50대 미만의 젊은 성인에서는 이완기혈압이 심혈관질환 위험을 평가하는 중요한 예측인자로 꼽힌다"면서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이를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지가 의문이다"고 제언했다.

CARDIA 연구는 18~30세의 백인 및 흑인 5115명을 1985년부터 1986년까지 모집한 연구로, 이번 연구에서는 4880명 참가자를 분석했다.

추적관찰 기간은 28년으로, 연구팀은 2009~2014년 사이에 최소 1년 이상 전화 인터뷰 또는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은 등록 당시와 15년 후에 측정했다. 일차 평가변수는 관상동맥 심장질환, 뇌졸중, 심부전, 다른 혈관질환을 포함한 심혈관질환으로 설정했다.

참가자들의 평균 나이는 등록 당시 24.9세였고, 15년 후에는 25세였다. 성별에 따라서는 등록 당시 여성이 54.4%, 15년 후에는 55.8%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인종 간 비율은 유사했다. 등록 당시 흑인은 50.7% 백인은 49.3%를 차지했고, 15년 후에는 각각 48.9%와 51.1%로 비슷한 비율이었다.

평균 수축기/이완기 혈압은 등록 당시 흑인 112/69mmHg 백인 109/68mmHg였고, 15년 후에는 각각 117/77mmHg와 110/72mmHg로 고혈압 기준에는 부합되지 않았다.

추적관찰 기간에 심혈관질환은 210명에서 나타났으며, 흑인이 140명으로 백인보다 2배 이상 많이 발생했다. 210명 중 131명은 15년 후에 심혈관질환이 발생했으며, 이 중 흑인이 87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연구팀이 교란변수를 보정해 심혈관질환 위험을 평가한 결과, 백인은 이완기혈압, 흑인은 수축기혈압이 향후 심혈관질환 위험과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흑인의 심혈관질환 위험을 등록 당시 혈압요소에 따라 평가했을 때 △수축기혈압 1.32배(HR 1.32, 95% CI 1.09~1.61) △이완기혈압 1.05배(HR 1.05, 95% CI 0.88-1.26) 증가했다. 이완기혈압에서도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아졌지만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했다.

하지만 백인은 달랐다. 백인의 심혈관질환 위험은 △수축기혈압 0.82배(HR, 0.82; 95% CI, 0.57~1.18) △이완기혈압 1.74배(HR, 1.74; 95% CI, 1.21~2.50)로 이완기혈압이 심혈관질환 위험 예측에 막강한 영향을 미쳤다. 수축기혈압에 따라서는 오히려 위험이 감소했지만, 이 역시 의미있는 결과는 아니었다.

단 15년 후에는 인종에 관련 없이 수축기혈압이 심혈관질환의 주요 예측인자였다. 흑인 또는 백인의 심혈관질환 위험이 수축기혈압에 따라 각각 1.64배(HR 1.64, 95% CI 1.25~2.16) 1.67배 높아진 것(HR 1.67, 95% CI 1.02~2.69).

Lloyd-Jones 교수는 한 외신(Medpage today)과의 인터뷰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인종에 따라 맥박압 및 동맥경직도의 유전적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며 "뜨거운 지역에서는 수분 배출을 막기 위해 체내에 나트륨을 보관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그래서 체내 나트륨 수치가 높아 20~40대 젊은 흑인의 맥박압이 증가하면서 수축기혈압이 심혈관질환 발병에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미국 듀크 임상연구소 Ann Marie Navar 교수는 논평을 통해 "이번 연구는 고위험군 성인에서 심혈관질환 위험을 예측하고 예방하는 위험모델 제작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JAMA Cardiology 2월 15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