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응급의료서비스 만족도 조사 발표 ... 전년 대비 5.0%p 증가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5명만이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해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안명옥) 중앙응급의료센터가 우리나라 응급의료서비스의 국민들의 인지도 및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2016년도 대국민 응급의료 서비스 인지도 및 만족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국 만 20세~80세 성인남녀 5000명이 응답한 이번 조사에서, 전반적 응급의료 서비스에 대한 신뢰율은 52.3%로,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5명이 신뢰한다고 응답했다. 이는 전년 대비 5.0%p 증가한 수치다. 

구급차서비스 신뢰율은 60.6%로 전년 대비 5.5%p 증가했고, 응급실서비스에 대한 신뢰율은 38.5%로 전년 대비 6.6%p 증가했다. 

최근 5년간 신뢰율 변화 추이도 나왔다. 

'구급차 서비스'의 신뢰율은 17.9%p 증가('12년 42.7%→'16년 60.6%)했으며, '응급실 서비스'는 12.4%p가 증가('12년 26.1%→'16년 38.5%)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 응급의료 서비스의 신뢰율은 14.6%p가 증가('12년 37.7%→'16년 52.3%)했다.

 

응급실을 이용하면서 국민이 느끼는 가장 큰 불만은 의사면담과 입원이나 수술까지의 긴 대기시간인 것으로 조사됐다. 

응급실에서 의사면담 및 입원/수술까지 긴 대기시간에 대한 불만이 41.2%였고, 응급실의 높은 의료비가 22.0%였다. 이외에 야간이나 휴일에 적절한 응급진료의 어려움이 21.8%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응급실에서 의사 면담 및 입원/수술까지 긴 대기시간'은 응급실 만족도 항목별 강약점 분석에서도 개선이 시급한 약점분야로 중점개선이 필요한 항목으로 도출됐다. 

이번 조사에서 최근 1년 동안의 응급실 이용행태도 조사됐다. 

최근 1년 이내 응급실서비스 경험자 1297명의 66.7%는 응급실 진료 후 귀가했고, 33.3%는 수술 또는 입원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응급환자 중심의 권역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56.2%는 '약국이나 집에서 치료할 수 없는 응급상황이 발생해 이용했다'라고 응답했고, 40.0%는 '주말, 휴일, 야간 시간대 등 이용 가능한 다른 기관이 없어 이용했다'고 답했다. 이는 경증(비) 응급환자에 대한 야간·휴일진료 확충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응급실 서비스 만족도는 채 50%를 넘지 못했다. 

응급실서비스에 대한 종합 만족지수는 59.5점, 만족률은 46.6%로 나타났다. 세부항목으로 '의료인의 친절도'는 만족률이 59.5%(전년 대비 2.4p% 증가)로 가장 높았고, '적절한 응급진료 및 처치'가 59.3%(전년 대비 4.8%p 증가)로 높게 나타났다.

응급실 환경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가장 두드러지게 증가한 항목으로 '대기실, 침상 등 응급실 환경'으로 2015년 39.9%에서 지난해 48.3%로 8.4% 증가했다. 

이는 권역응급의료센터의 확대 지정과 시설 개선, 중증도 분류를 통한 중증환자 진료비 차감 및 감염병 안심 응급실 구축 사업 등 2016년에 이뤄진 일련의 제도개선 결과로 파악할 수 있다. 
  
최근 5년간 세부항목별 만족도 변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대기실, 침상 등 응급실 환경은'은 만족률의 증가가 가장 높았으며('12년 31.6%→'16년 48.3%, 16.7%p 증가), '응급의료서비스 대비 응급의료비용'('12년 20.5%→'16년 36.1%, 15.6%p 증가), '적절한 응급진료 및 처치'('12년 43.9%→'16년 59.3%, 15.4%p 증가)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입원/수술까지 대기시간'은 가장 낮은 증가폭('12년 34.9%→'16년 40.6%, 5.7%p 증가)을 보였다.

 

구급차 서비스는 대체로 만족하는 결과를 보였다. 

최근 1년 이내 구급차를 이용한 응답자 518명의 구급차 서비스에 대한 만족률은 79.7%로 전년 대비 3.0%p 증가했다. 119 구급차는 만족률 84.8%로 전년 대비 0.4%p 감소했지만, '민간 이송업체 구급차'(42.2%)와 '병원 구급차'(64.5%)에 비해 높은 만족률을 보였다.

구급차 종류별 불만족 이유로, 119 구급차는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해 주지 않음'이 높았고, 민간 이송업체 구급차는 '환자 상태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송'을 불만사항으로 꼽았다. 

 응급의료 서비스 불만족 이유

심폐소생술 인지 정도도 조사됐다. 

전체 응답자 5000명 중 56.2%는 심폐소생술을 인지했고, 이 중 75.1%(전체 응답자의 42.2%)는 심폐소생술을 할 줄 안다고 응답했다. 전년 대비 전체 응답자의 1.9%p('15년 40.3%)가 증가했다. 

교육 횟수와 심폐소생술 시행가능, 시행경험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p<0.01) 상관성이 있었으며, 교육 횟수가 높을수록 심폐소생술 시행가능여부와 시행 경험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과 정상 회복율을 위해 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의 확대가 더욱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윤한덕 센터장은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도는 지속적으로 호전되고 있으나, 여전히 부족한 편"이라며 "정책 당국과 응급의료서비스제공자 간 개선지향점에 대한 합의와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